こんにちは。쏘뉴입니다.

일본어에는 感じる(かんじる)와
感ずる(かんずる)라는 같은 한자를 사용하는 비슷한 동사가 있습니다.
둘 다 한국어로는 '느끼다, 감동하다, 반응하다'로 해석됩니다.
비슷한 듯 다른 듯 두 동사의 차이점에 대해
사전적 의미와 함께 자세히 알아볼까요?
느끼다_국어사전 뜻
국어사전에서 '느끼다'라는 의미를 찾아보면 이하와 같습니다.
[Ⅰ]
1. 감각 기관을 통하여 어떤 자극을 깨닫다.
2. 마음속으로 어떤 감정 따위를 체험하고 맛보다.
3. 어떤 사실, 책임, 필요성 따위를 체험하여 깨닫다.
4. 특정한 대상이나 상황에 대하여 어떠하다고 생각하거나 인식하다.
출처 : 네이버 국어사전
라고 설명합니다.
感じる(かんじる)와 感ずる(かんずる)뜻
[Ⅰ] 感じる Kangiru
「感ずる」に同じ Kanzuru와 동일
[Ⅱ] 感ずる Kanzuru
①刺激を受けとる。感覚を起こす。
자극을 받음. 감각을 세우다.
└ 冷たく感ずる。
차갑다고 느끼다.
└ 空腹を感ずる
공복을 느끼다.
②心に思う。ある気持ちいだく。
마음으로 생각하다. 어떤 마음을 먹다.(결심하다)
└ 責任を感ずる
책임을 느끼다.
③心が動く。感動する。
마음이 움직이다. 감동하다.
└ 恩義に感ずる。
은의에 감동하다. *은의: 갚아야 할 만한 은혜와 의리
④、⑤ 생략
感じる(かんじる)와 感ずる(かんずる)차이
感じる와 感ずる 의 차이는 사전에 쓰인 해당 동사를 현대식으로 읽는지,
예전의 방식으로 읽는지의 차이입니다.
결국, 의미적 차이는 없습니다.
드라마나 일상에서 두 가지 모두 통용되지만, 현대에서는
感じる(かんじる)쪽을 더 일반적으로 사용합니다.
그럼 왜? 두 가지 모두 사용하는지 궁금하시죠?
그 이유는 일본어의 구어체 문법과 문어체 문법에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.
자세한 내용은 머리가 아프니 일본어 회화에서는 '感じる 를 더 많이 사용한다.'
정도로만 알면 됩니다.
感ずる 사용해 보고 싶다면?
일상에서 보통 感じる 를 사용하지만
일본어에서는 보다 아름답고 운치 있어 보이기 위해 일부러 예전 형식으로
말하는 경향이 있습니다.
春を感ずる
봄을 느끼다.
와 같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합니다.
♥참고 사항♥
'感'는 한국 한자로 '感' 은 '느낄 감'
비슷한 동사들
信じる 와 信ずる
命じる 와 命ずる
通じる 와 通ずる
등 도 비슷한 이유로 다른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.
도움이 되셨다면
공감과 구독 부탁드립니다♥
'일본어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경리, 회계 일본어] 帳端(ちょうは)의미 (0) | 2021.11.17 |
---|---|
一服(いっぷく) 의미 알아보기 (0) | 2021.11.09 |
돌아가다 일본어로 뭐일까? 戻る(もどる) VS 帰る(かえる) 차이점 (2) | 2021.09.15 |
[일본어교재] 인스타그램 광고로 배우는 일본어_ Wolt (0) | 2021.09.04 |
[기초일본어] 앱 광고를 일본어교과서로_어플 Let (0) | 2021.08.15 |